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돼지 간세포 미니 장기로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모형 구축 성공
    작 성 일 2024-10-24 조 회 222
    첨부파일

    20241015_bodo.pdf (361KB) ( 다운횟수 56 )     다운로드     바로보기



     

    돼지 간세포 미니 장기로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모형 구축 성공


    -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모형 재현, 신약 개발 시간 단축에 기여

    - 동물 실험 없이 사료 독성 평가 기반 마련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2022년 개발한 돼지 간세포 오가노이드(미니 장기)를 이용해 알코올성 지방간 모형(모델)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돼지 간세포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급성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모형을 구축하고, 알코올이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돼지 장기는 사람과 생리학적으로 가장 유사해 오가노이드, 이종이식 연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간 등 내부 장기 연구에도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이 알코올을 간세포 오가노이드에 매일 투여한 결과, 세포 사멸이 증가하고 과도한 지방 축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알코올 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중 CYP1A2가 기존에 알려진 CYP2E1보다 급성 알코올성 손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새롭게 밝혀냈다.

     

      또한, 돼지 중간엽 줄기세포를 간세포 오가노이드와 함께 배양했을 때, 중간엽 줄기세포가 간 기능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로써 중간엽 줄기세포가 알코올로 인한 간세포 손상을 막고, 지방 축적을 완화해 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돼지 간세포 오가노이드가 간 독성을 평가하는 체외 모형으로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사료첨가제, 동물의약품 등의 개발 과정에서 안전성 연구 시간을 단축하고, 정밀한 평가가 가능한 대체 시험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Cells’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류재규 과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비만과 알코올이 주요 원인인 지방간 질환 연구 및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대체 시험법 개발을 계기로 향후 사람과 동물 모두의 행복권을 보장할 수 있는 동물 실험 대체 연구에 더욱 매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동물바이오공학과 옥선아 농업연구사, 063-238-7255>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