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새끼 돼지 장 건강 연관 미생물 6종 찾아
    작 성 일 2024-08-30 조 회 357
    첨부파일

    20240830_bodo.pdf (554KB) ( 다운횟수 114 )     다운로드     바로보기



     

    새끼 돼지 장 건강 연관 미생물 6종 찾아


    - 돼지 생산성 높일 수 있는 새끼 돼지 장 내 유용 미생물 확인

    - 새끼 돼지 장내 조절 티(T)세포와 장내 미생물 간 연관성 밝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새끼 돼지의 장 건강 유지에 관여하는 면역세포와 연관된 유용 미생물 6종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용 미생물 6종은 새끼 돼지의 장 면역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후보 미생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국내 새끼 돼지의 장관 면역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새끼 돼지 24두 소장에 존재하는 조절 티(T)세포를 분리해 세포수를 측정했다. 이어 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의 유전자를 활용해 풍부도를 분석했다.

     

      조절 티(T)세포의 양과 미생물의 풍부도 간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성 높은 미생물군 6(Romboutsia, Bacteroides, Terrisporobacter, Rothia, Ruminococcus, Muribaculaceae)을 확인했다.

     

      이 가운데 Romboutsia, Bacteroides, Rothia, Muribaculaceae는 기존 연구에서 동물의 면역과 연관돼 있으며, 항염증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새끼 돼지는 출생 후 면역체계가 미숙해 어미 돼지의 모유를 통해 간접적으로 면역 물질을 공급받아 외부의 질병에 대항한다. 젖 뗀 후에는 소화율과 면역력이 떨어질 확률이 높아 설사병 등의 증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돼지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기도 한다.

     새끼 돼지 장 내 면역체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조절 티(T)세포는 외부 병원균에 대항하는 다른 면역세포들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특정 항원에 대한 반응을 완화해 외부 병원성 물질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특히 조절 티(T)세포의 분화는 장내 미생물의 대사산물에 의해 촉진되기 때문에 미생물은 장 면역체계에 매우 중요하게 관여한다.

     농촌진흥청은 새끼 돼지 장 건강과 관련 있는 조절성 티(T)세포 연관 미생물군의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조절성 티(T)세포 연관 미생물군은 새끼 돼지의 장 건강 유지에 도움 되는 사료 첨가제 개발 등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 윤호백 과장은 돼지 장내에 존재하는 유용 미생물을 발굴해 새끼 돼지의 건강 유지에 활용함으로써 안정적 성장과 생산성 향상 등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동물유전체과 임진아 농업연구사, 063-238-7303>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