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축산 환경 개선 연구 개발에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작 성 일 2024-04-25 조 회 840
    첨부파일

    20240424_bodo.pdf (278KB) ( 다운횟수 104 )     다운로드     바로보기



     

    축산 환경 개선 연구 개발에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 24, 임기순 국립축산과학원장 두록 전문 양돈농장 방문

    - 돈사 환경 개선 및 동물복지 대응 관련 현장 의견 청취

    - 임 원장, 양돈 현장 의견 연구 개발에 반영토록 노력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 국립축산과학원 임기순 원장은 424, 축사 시설 현대화와 돼지 품종 차별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는 충청남도 예산군 양돈농장을 둘러보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

     

      승계농업인 박경원 대표는 어미돼지 350여 마리를 사육하며, 어미돼지가 생산한 새끼 돼지를 부모님이 운영하는 인근 농장으로 옮겨 키우는 이원화 방식으로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임 원장은 박 대표와 돈사 시설을 둘러보며 기존 재래식 돈사의 고질적 문제인 냄새를 줄이고 지역 주민과 상생할 수 있었던 해결책을 물었다.

     

      박 대표는 내부 시설에 반도체 공장 공조시스템을 적용해 온도, 습도, 환기 등을 돼지 사육에 최적화된 환경으로 설정했다.”라며 두록 돼지만을 전문적으로 사육하며, 꾸준히 개량해 생산성을 높여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임 원장은 일반적으로 사육하는 삼원교잡돈이 아닌 두록만을 전문적으로 생산해 품종 차별화를 꾀한 것은 양돈 산업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의미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두록 고기는 전량 온라인으로 유통하며 소비자 반응도 좋아 일반 돼지보다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라며 다만 동물복지와 관련해 임신돼지 군사(무리 기르기) 사육이 의무화되면 서열 다툼으로 임신돼지 생산성이 낮아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라고 말했다.

     

      이에 임 원장은 임신돼지 군사에 적정한 사육밀도, 사회성 훈련 연구를 수행해 사육관리 안내서(매뉴얼) 발간을 준비하고 있다.”라며 농가의 어려움을 덜 수 있도록 축산 환경 개선과 동물복지 관련 연구 개발에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김창한 농촌진도사, 063-238-7211>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