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농촌진흥청, 국내 초지 온실가스 흡수계수 개발
    작 성 일 2024-04-04 조 회 1009
    첨부파일

    20240403_bodo.pdf (571KB) ( 다운횟수 188 )     다운로드     바로보기



     

    농촌진흥청, 국내 초지 온실가스 흡수계수 개발


    - 국가 고유 흡수계수 개발로 더 정확한 온실가스 흡수량 산정 가능

    - 국제기준 적용할 때보다 초지 온실가스 흡수량 약 2% 향상

    - 2027년까지 초지 온실가스 흡수계수 3종 추가 개발 계획

     

     

      우리나라 초지에서 흡수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국가 고유 온실가스 흡수계수가 처음 개발돼 국제기준을 적용할 때보다 정확한 온실가스 흡수량 산정이 가능케 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국가 고유 온실가스 흡수계수로 초지 화산회토 유기탄소 기본계수’ 1종을 경희대학교(유가영 교수팀)와 공동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흡수계수는 온실가스 흡수원별 흡수량을 정량화한 기본계수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국가 고유 온실가스 흡수계수가 없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부여하는 기본계수를 사용해 왔다.

     아이피시시(IPCC)는 초지 분야 유기탄소 기본계수를 토질에 따라 총 4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가운데 농촌진흥청은 화산회토 1종에 대한 유기탄소 기본계수를 개발했다. 이를 가장 먼저 개발한 이유는 우리나라 초지의 55.4%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 토양의 99%가 화산회토이기 때문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초지 화산회토 유기탄소 기본계수(단위: CO2/ha)아이피시시(IPCC) 2006’에서 제시하는 80보다 높은 95이다. 이를 활용해 국내 초지 온실가스 흡수량을 산정하면, 흡수량이 기존 대비 약 2%(2021년도 기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초지 화산회토 유기탄소 기본계수를 국가 온실가스 배출흡수계수 개발검증 지침에 따라 지난해 12,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최종 등록했다. 올해 진행하는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순 배출량 산정부터 초지 화산회토 유기탄소 기본계수를 적용할 예정이다.

     

      국가 고유 온실가스 흡수계수를 활용하면, 국내 초지 환경을 반영한 정확한 흡수량 산정이 가능해지고 국가 온실가스 통계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농촌진흥청은 2027년까지 우리나라 초지 환경을 고려한 온실가스 흡수계수 3종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한편, 국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은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분야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에토지이용, 토지 이용변화 및 임업(LULUCF)’분야의 흡수 또는 배출량을 합산해 산정한다. 이에 따라 토지의 온실가스 흡수량이 많을수록 국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이 적어져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이상훈 과장은 초지는 축산분야 유일의 온실가스 흡수원이다.”라며 이번에 처음 개발한 화산회토 유기탄소 기본계수에 이어 토질에 따른 흡수계수를 추가 개발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초지사료과 정종성 농업연구사, 041-580-6748>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