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돼지고기 지방 식감 조절 유전자 분자표지 개발
    작 성 일 2023-12-22 조 회 1073
    첨부파일

    20231219_bodo.pdf (1548KB) ( 다운횟수 150 )     다운로드     바로보기



     

    돼지고기 지방 식감 조절 유전자 분자표지 개발

    - 소비자, 지방이 단단하고 씹힘성이 있는 돼지고기 선호

    - 돼지고기 내 지방 식감 예측하는 분자표지 특허출원

    - 지방산 조성 알맞은 개체, 씨돼지로 활용 개량 속도 높일 것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돼지고기 지방산 조성을 조절해 지방 식감(굳기,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분자표지(마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돼지고기 품질을 평가할 때 지방의 경우 색과 굳기(경도)로 판단한다. 돼지고기 지방 굳기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으면 씹힘성이 있는 식감을 띄게 된다.

     

      돼지고기 품질에 중요한 요소인 지방산 조성은 유전력이 높은 형질이지만 그동안 품종을 개량하는 지표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지방산 조성은 도축 후 등심을 분석해야 알 수 있는데, 도축하면 해당 개체는 씨돼지로 선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지방산 조성과 연관된 유전자를 찾고자 전장유전체분석(GWAS)을 실시했고, 16번 염색체에서 장쇄지방산 생합성에 관여하는 ELOVL7 유전자를 확인했다.

     

      ELOVL7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단일염기다형성(SNP)3가지의 유전자형 T/T, T/C, C/C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해당 변이는 포화지방산 중 하나인 스테아르산의 함량과 연관이 있었으며, 특히 유전자형 C/C에서 스테아르산 함량이 양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유전자형 C/C가 돼지고기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은 개체, 즉 지방이 단단한 개체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자 분자표지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유전자 분자표지는 돼지고기(돈육) 내 포화지방산 함량 예측용으로 특허출원을 마쳤으며, 현재 농가 현장 적용을 위한 기술 이전을 진행하고 있다. 농가에서는 지방산 조성이 알맞은 개체를 씨돼지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려 돼지고기 지방 식감에 대한 개량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강근호 소장은 국내 소비자는 돼지고기 지방이 희고 윤기 있으며, 단단해 씹힘성이 좋은 고기를 선호한다.”라며 국내산 돼지고기 소비 촉진을 위해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돼지고기 품질 연구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연구소 김현아 농업연구사, 064-754-5719>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