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첨가 슬러리 내 L. plantarum 균수 변화 조사
    논문명(영문)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첨가 슬러리 내 L. plantarum 균수 변화 조사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스마트축산환경과
    품목코드 축산 / 중가축 / 돼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황옥화
    성과년도 2024 성과적용일 2025년01월
    본 연구는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LP)을 106과 108CFU/mL로 첨가한 슬러리의 배양시간 경과에 따른 LP 균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별 슬러리는 무첨가의 경우, 슬러리 720 mL과 MRS 액상배지 80 mL, 106은 슬러리 720 mL, LP 배양액 0.8 mL 및 MRS 액상배지 79.2 mL, 108은 슬러리 720 mL과 LP 배양액 80 mL을 혼합한 후 25 ℃ 배양실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LP 균수는 LP 배양액으로 작성한 표준곡선에 슬러리와 콜로니 (슬러리를 배지에 도말, 배양하여 회수)의 qPCR Ct 값을 대입하여 계산한 copy number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슬러리 내 균수는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48시간 배양 후 무첨가 30%, 106 57%, 108 56%로 무첨가에서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반면, 콜로니 내 균수는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고, 48시간 배양 후 무첨가 69%, 106 38%, 108 30% 증가하며, 슬러리와 반대의 패턴을 보였다. 콜로니 분석에서 균수가 증가한 이유는 MRS 고상배지에 슬러리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보상성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LP 첨가 슬러리의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슬러리 내 균수는 감소하였지만 콜로니 내 균수는 증가하였으며, 이는 영양소가 풍부한 환경에서 인위적인 증식 과정을 통해 LP의 활동성을 복귀시켜 활동 능력을 가진 균수 산출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향후에는 슬러리를 직접 분석하여 실제 성장 환경에서 활동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검출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