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특정 병원체 제어(SPF) 시설내 자돈 생산 및 관리 방법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바이오공학과
    품목코드 축산 / 중가축 / 돼지
    주저자 이해선
    기술유형 생명공학 / 형질전환, 복제 기술활용유형 교육·현장연시
    활용분야 축산생명환경 기술분야
    성과년도 2023 성과적용일 2024년08월
    첨부파일

    영농정보_특정 병원체 제어(SPF) 자돈 생산 및 관리 방법_동물바이오공학과_이해선.hwpx     다운로드

    □ 배경 ○ 양돈 농가에서 질병 청정화를 위한 자돈 생산 및 사양관리 방안 필요 - 양돈 농가에서 소모성 질병에 의해 매년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발생에 따라 돼지 질병 해결을 위한 방역 기술 연구의 강화 필요성이 강조 - 분만이나 포유 과정에서 모체로부터 가축 질병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특정 병원체 제어(Specific pathogen free, SPF) 자돈 생산 및 관리 기술 마련이 필요함 ○ 의료 및 실험용 돼지 개발을 위한 특정 병원체 제어(SPF) 기술 필요 - 의료용 제제·질환 동물모델 개발을 위한 원료동물이나 신약 독성평가 등을 위한 실험동물로서 돼지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음 - 연구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SPF 환경에서 자돈 생산·관리가 필수 □ 종합 영농기술정보 ○ 목적 : 특정병원체 제어 시설내 자돈의 생산 및 관리 시 병원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 제공 ○ 개발 기술 내용 - (생산) 자궁적출을 통해 분만 과정에서 모체로부터의 자돈 감염 차단 - (관리) 병원체 제어를 위한 일령별 자돈 관리 및 방사선 멸균 활용 방안 ○ 개발 기술 적용 대상 및 활용 방법 - (양돈 농가) 질병 청정화를 위한 자돈 생산 및 사양관리 방안으로 활용 - (연구기관 및 기업) 의료 및 실험용 돼지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 □ 파급효과 ○ (과학·기술) SPF 돼지 생산·관리 절차 체계화를 통한 연구 활성화 및 특정 병원체 제어를 필요하는 시설에서 기술적 지원 가능 ○ (사회·경제) 의료·실험용 돼지의 상품성과 전염병으로 인한 양돈 농가의 사회·경제적 손실 저감을 통한 그린바이오 산업 및 의료용 축산업 육성 가속화 ○ 경제성 분석 (단위: 원/10a) - 증가되는 비용(자궁적출에 따른 모돈 희생, 자돈 사육용 아이솔레이터 초기 설치 및 유지 비용, 방사선 멸균에 따른 사료비 증액): 280,000,000원 - 증가되는 이익(병원체 제어를 통한 생산성 향상): 421,000,000원 - 추정수익액(B-A): 421,000,000 –280,000,000 = 141,000,000원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