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목 | 한우 개체 기록 유지 관리와 활용 방법은 | ||
---|---|---|---|
작 성 일 | 2025.08.26 | 조 회 수 | 3320 |
첨부파일 |
Ⅰ. 개량-1. 한우 개체 기록 유지 관리와 활용 방법은.pdf (260KB) ( 다운횟수 148 ) 다운로드 바로보기 |
한우의 개체 기록관리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양식을 바탕으로 꾸준한 기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개체 기록을 위한 양식은 개체의 성장(비육), 번식(교배, 분만), 유전능력, 출하 성적, 백신 기록 등 개체의 생애에서 얻어지는 자료들을 구체적으로 기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좋으며, 이렇게 기록된 자료들은 현재 개체의 상태뿐만 아니라 향후의 개체의 이상 징후 발현 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해보면 해당 농가의 사양, 번식관리의 장·단점을 알 수 있어 문제점에 대한 보완이 가능하며, 보유 축군의 특징을 파악하고 후대의 능력을 예측함으로써 향후 교배를 위한 정액 선택 및 농가의 개량 방향을 더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관리는 수기로 작성하여 보관하거나 컴퓨터를 활용함으로써 더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컴퓨터로 개체관리를 할 때는 ‘축사로’ 시스템(chuksaro.nias.go.kr)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기 작성 양식이 필요할 경우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041-580-3368)에 문의하여 파일을 받아볼 수 있다.
※ ‘축사로’ 시스템 활용 방법은 p158 참고
(가축개량평가과 / 041-580-3368)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