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축산 청년농업인 양성 기술지원, 더 촘촘하게
    작 성 일 2024-02-27 조 회 867
    첨부파일

    20240227_bodo.pdf (1839KB) ( 다운횟수 91 )     다운로드     바로보기



     

    축산 청년농업인 양성 기술지원, 더 촘촘하게

    - 올해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지역 기술-경영전문 기술 지원 강화

    - 2023년 만족도 조사, 거점지역 청년농업인 매우 만족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미래 축산업을 이끌 청년농업인을 전문적으로 양성하고자 지정, 운영하는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지역을 대상으로 전문기술 교육과 현장 상담(컨설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은 2021년부터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지역(이하, 거점지역)’을 선정해 그 지역 청년농업인에게 축산 신기술과 현안 대응 기술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1기 거점지역은 전국 5개 시군지역에서 한우를 키우는 청년농업인 57명을 대상으로 20218월부터 202312월까지 운영했다. 2기 거점지역은 12개 지역에서 한우를 키우거나, 낙농에 종사하는 139명을 대상으로 20231월부터 202412월까지 운영한다.

     

      지난해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지역 1, 2기 참여자를 대상으로 종합만족도 조사를 한 결과,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이 4.51(5점 만점)으로 높았다. 가장 도움이 된 분야로 한우는 사양관리(64.3%), 젖소는 번식관리(50%)를 꼽았으며, 축산 경영 상담과 적용 기술 조언 등도 유익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힘입어 올해 2기 거점지역에서는 경영 전문가 현장 상담 추가, 적용 기술 조언 등 더 전문적이고 현장에 유용한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장 상담(컨설팅)은 올해 3월부터 기존 ‘1 전문가(기술)-1 거점지역에서 ‘2 전문가(기술·경영)-1 거점지역으로 경영 전문가를 추가해 기술 투입과 경영 진단을 병행하는 통합지원형으로 운영한다.

     2023년에 실시한 1차 전문 기술지원을 토대로 농장에 기술을 도입한 청년농업인 재상담도 새로 진행한다. 전문가가 농장에 재방문해 기술도입 여건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기술 정착을 위한 상담을 진행한다.

     

      올해 7월에는 전국의 거점지역 담당자, 축산 청년농업인, 전문가 등이 함께하는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공동 연수회(워크숍)’를 개최한다. 축산분야 주요 정책 소개, 전문 기술 교육, 신기술 도입 우수 사례 공유, 축산 현장 문제 청취 등 소통하고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정진영 과장은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협력망(네트워크)을 구축해 축산 신기술이 청년농업인에게 신속하게 보급되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앞으로도 축산 현장에 더 가까이 다가가 청년농업인이 미래 축산업을 이끌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김 준 농촌지도사, 063-238-7207>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