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농촌진흥청, 축산 지능형 농장(스마트 팜) 국가표준(KS) 개발
    작 성 일 2023-11-21 조 회 1116
    첨부파일

    20231110_bodo.pdf (180KB) ( 다운횟수 216 )     다운로드     바로보기



     

    농촌진흥청, 축산 지능형 농장(스마트 팜) 국가표준(KS) 개발

    - 축종별(, 돼지, ) 사양관리 기기 정보 품질 향상 기준 제시

    - 농식품부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 국가표준 확산 지원 사업통해 업계 확산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축산 농가에서 사용하는 사양관리 기기로부터 정확한 정보(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표준(KS)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축산 사양관리 기기 데이터 수집 기준국가표준은 1-공통 사항 2-돼지 3-4-닭 등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모든 축종에서 사용하는 사양관리 기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통신방식, 유선 및 무선 연결 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2부에서 4부까지는 축종별로 사용되는 사양관리 기기로부터의 전송 정보(데이터) 항목, 측정 범위, 측정 단위, 허용오차 및 방수·방진 보호 등급 등을 표준화했다.

     

      농촌진흥청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주관한 스마트 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표준화 공개 토론회(포럼)’을 통해 관련 업계 및 기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국가표준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농업용 전자통신(ISO TC23/SC19) 분야의 전문위원회와 기술심의회를 거쳐 국가표준으로 제정했다.

     

      국가표준 4개 가운데 1(공통 사항)2(돼지)는 이미 202212월에 제정돼 올해부터 농림축산식품부 ‘ICT 기자재 국가표준 확산지원 사업에 포함돼 축산 사양관리 기기 업체가 기기를 개선하는 데 표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올해 10월 제정된 3()4()2024년부터 포함될 예정이고, 마찬가지로 축산 사양관리 기기 업체에서 표준에 부합되도록 기기를 개선하는 데 활용하게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유동조 과장은 국가표준이 산업계로 확산, 적용되면 관련 업체에서 활용도 높은 양질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축산 지능형 농장(스마트 팜) 발전을 앞당기는 다양한 표준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축산환경과 김종복 농업연구관, 063-238-7430>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