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재래 닭 동결 유전자원 생존성 높이는 첨가제 확인
작 성 일 2022-08-25 조 회 443
첨부파일

20220825_bodo.pdf (373KB) ( 다운횟수 93 )     다운로드     바로보기



 

재래 닭 동결 유전자원 생존성 높이는 첨가제 확인

- ‘발린’(아미노산) 첨가정자 운동성 13%p, 온전성 14%p 높아 -


 

 

  우리 재래 닭 같은 가금 유전자원을 멸종 위기로부터 영구 보존할 수 있는 생식세포 동결 보존 연구가 활기를 띨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재래 닭 오계의 정액을 동결하기 위한 보존액(동결 보존액)에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인 발린(valine)을 첨가한 결과, 정자의 생존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가금류의 난자인 달걀을 동결 보존할 수 있는 기술이 없기 때문에 살아있는 가축(생축) 위주로 보존하던 가금 유전자원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같은 가축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재래 닭오계의 동결정액을 녹인(융해) 후 정자 운동성을 높이기 위해 동결 보존액에 다양한 물질을 첨가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인 발린을 동결 보존액에 10mM 첨가했더니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이 13.25%p, 직진성은 4.97%p, 빠른 직진성은 5.30%p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자 첨체의 온전성을 비교한 결과, 발린을 첨가했을 경우 92.83%로 나타나 발린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78.67%)보다 14.15%p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 재래 닭오계정액의 동결 보존액 첨가제로 발린을 활용하면 정자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보유하고 있는 닭 5품종 31계통을 대상으로 동결 보존액에 여러 물질을 첨가해 닭 동결정액의 생존성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주요 축종(7 축종)의 동결정액, 수정란 등 동결 유전자원 36만여 점을 액체질소(영하 196)에 보존관리하고 있다. 이 가운데오계를 포함한 닭의 생식세포(원시생식세포, 동결정액)6,908점에 이른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최창용 센터장은 우리나라 고유의 가금 유전자원을 안전하게 영구 보존할 수 있도록 생식세포 동결보존 효율성을 향상하고 활용 가치를 높이는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하겠다.”라고 전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이재영 농업연구사, 055-960-3533>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자 : 기획조정과  송명섭[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

자주찾는 정보

원하시는 메뉴 6개 선택 후 저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