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농촌진흥청, 논 재배용 사료피 신품종 ‘조온’·‘다온’ 개발
    작 성 일 2025-05-16 조 회 26
    첨부파일

    20250513_bodo.pdf (296KB) ( 다운횟수 14 )     다운로드     바로보기



    농촌진흥청, 논 재배용 사료피 신품종 ‘조온’·‘다온’ 개발


    - 조기 수확형 ‘조온’, 고수량형 ‘다온’…지역 여건에 맞춘 품종 선택 가능

    - 직불제 연계 및 민간 종자업체 통한 보급 확대…자급률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여름철 논에서도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국산 풀사료 신품종 ‘조온’과 ‘다온’을 개발하고, 전략작물직불제 연계 및 실증시험을 통해 현장 보급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품종 개발은 정부의 논 전략작물직불제와 연계한 국산 풀사료 생산 확대 전략의 일환이다. 


    신품종 ‘조온’은 생육 기간이 짧은 조기 수확형 품종으로, 쓰러짐에 강한 특성(내도복성)이 있다. 기상이변 등으로 주 작물을 수확하지 못할 경우나, 단기간 생산이 필요할 때 긴급조사료로 활용할 수 있다. 건물(마른풀)수량은 헥타르당 8.4톤으로 식용피 대비 약 12만 원의 수익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온’은 수확량이 많은 품종(다수성)으로 진한 자주색 이삭이 나온다. 제주 재래종 대비 약 8% 높은 수량성(16.9톤/헥타르)을 보였고, 헥타르당 14만 원 이상 수익 향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사료피는 습한 논에서도 재배가 가능하고, 건초나 담근먹이(사일리지)로 만들어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다. 따라서 여름철 풀사료 생산에 효율적인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실증 재배 사업을 통해 생산성과 재배 안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2026년부터는 민간 종자 업체와 협력해 종자 생산 및 농가 보급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조사료생산시스템과 이상훈 과장은 “이번 신품종 개발로 하계 사료작물의 품종 다양성과 선택폭을 넓힐 수 있게 됐다.”라며, “논 활용도를 높이고 하계 풀사료 재배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품종 개발과 조기 보급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조사료생산시스템과 최보람 농업연구사, 041-580-6743>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