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축산 농가 열 가구 중 네 가구, “자녀가 일 물려받는다”
-농촌진흥청, ‘축종별 영농 승계 실태와 의식 조사’발표-
축산 농가 경영주10가구 중4가구는 자녀가 일을 물려받고,그 중 절반 이상은 승계 예정인 자녀가 현재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원활한 승계를 위해서는 기술 교육 등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축산 농가607곳의 경영주를 대상으로 영농 승계 실태를 조사한 결과,응답자의41.2%가 자신의 일을 물려줄 승계자(자녀)가 있다고 답했다.
※조사 대상:한우186호,젖소108호,양돈108호,육계110호,산란계95호,총607호
이번 조사는 축산 농가의 영농 승계 의향과 문제점을 밝혀 축산분야의 영농 승계 대책을 세우고 중·장기적인 축산 기술 개발과 보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축산 경영주의 평균 나이는59세였고,앞으로10.7년 더 축산업에 종사할 것이라고 답했다.축산 농가의41.2%는 영농 승계자가 있으며,그 중55.6%는 승계자가 현재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축종별 승계자 보유율은 양돈47.2%,젖소45.4%,산란계43.2%,육계37.3%,한우36.6%로,비교적 규모화가 진행되고 소득이 높은 양돈과 젖소,산란계 농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참고자료-표2>.
규모별로는 한우100마리 이상 농가의57%,젖소80마리 이상 농가의53.3%,육계5만 마리 이상 농가의47.8%가 승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반면,한우50마리 미만 농가의13.6%,젖소60마리 미만 농가의36.4%,육계4만 마리 미만 농가의19.4%에서만 승계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참고자료-표3>.
영농 승계자가 없는 농가(58.8%)중‘자신 세대에서 경영을 중단하겠다’는 응답은10.7%, ‘타인에게 임대나 양도하겠다’는18%, ‘아직 계획이 없다’고 답한 농가도30.1%에 달했다<참고자료-표4>.
특히,한우의34.4%,육계의32.7%,낙농 농가의27.8%는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승계자 확보와 육성을 위한 구체적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원활한 승계를 위해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응답자의25.2%가‘승계 인력 육성 및 지원(기술 교육)’을 꼽았고, ‘축산 규제 완화(23.7%)’, ‘증여세 등 세금 부담 경감 조치(19.8%)’가 뒤를 이었다<참고자료-표5>.
승계 시 어려움이나 문제점(5점 척도)으로는‘축산 규제(3.89점)’와‘자금 지원(3.59점)’등을 꼽았다<참고자료-표6>.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박경숙 기술지원과장은“이번 조사는 축산 영농 승계 활성화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에 의의가 있다”라며,
“가족농의 유지와 승계를 위한 인력 육성과 기술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2015년5월부터6월까지 조사 전문 기관에 의뢰해 면접 조사 방식으로 수행했으며,신뢰수준95%,허용 오차4%다.
<문의처:기술지원과 천동원 농업연구관, 063-238-7215>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