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가축검정기준의 [별표8]젖소 검정성적과 조사기입 방법의 검정항목 ‘산유량 및 유성분’의 조사기입 방법에 검정개체별 ‘로봇착유기 사용여부와 일 착유횟수’를 추가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축개량평가과
    건의부처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젖소
    주저자 최연호
    기술유형 종자(축) / 육종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축산자원개발 기술분야
    성과년도 2017 성과적용일 2018년12월
    첨부파일

    축산자원개발_최연호-가축검정기준의 [별표8]젖소.hwp     다운로드

    <제안배경> ○ 국내 낙농가들이 착유에 소요되는 인력 수급 문제 해결 방안으로 로봇착유기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임 - 국내 현재 104대(3개 사 제품) 도입 사용 중, 이중 2대 사용농가는 3농가 ○ 현 유우군 능력검정 시스템에서는 로봇착유기 사용여부나 일 2회 착유 외의 착유횟수를 실시하는 농장에 대한 기록 구분을 하지 않으므로 이 성적을 일반 일 2회 기존 착유방식에서 얻은 성적과 혼합할 경우, 유량 및 유성분량의 과다 또는 과소(편의, bias)로 평가될 우려가 큼 <제안내용> ○ 가축검정기준의 [별표8]젖소 검정성적과 조사기입 방법의 검정항목 ‘산유량 및 유성분’의 조사기입 방법에 검정개체별 ‘로봇착유기 사용여부와 일 착유횟수’를 추가 <파급효과> ○ 젖소 산유능력에 대한 유전능력 평가시 로봇착유기와 착유횟수가 일 2회와 다른 경우 야기되는 통계적 편의(bias) 요인을 없앰으로써 평가결과의 정확도 향상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