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천안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알팔파의 혼파비율이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Effects of Mixing Italian Ryegrass with Alfalfa at Different Ratios on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in the Cheonan Region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조사료생산시스템과 |
품목코드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주저자 |
유영상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5년04월 |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와 알팔파(AF)를 혼파 재배했을 때, 생산성과
사료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혼파 재배의 최적 비율과 장점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IRG
단일 재배구(IRG30, IRG 30 kg ha-1)와 혼파 처리구(AF5IRG25: AF 5 kg ha-1 + IRG 25 kg ha-1, AF10IRG20:
AF 10 kg ha-1 + IRG 20 kg ha-1)로 설계되었다. IRG와 AF의 혼파 비율에 따른 식생 구성, 건물 생산성 및 사
료 가치를 1차 수확과 2차 수확 시기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혼파 재배에서는 IRG가 초기 식생 구성을 지배
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알팔파의 비율이 증가하여 2차 수확 시 AF10IRG20 처리구에서 38%로 식생비율이 가장
높았다. 건물 생산성은 2차 수확에서 AF10IRG20 처리구가 4,459 kg ha-1로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조단백
질 함량 또한 18.76%로 가장 높았다. 총 건물 생산량(1차 수확 + 2차 수확)은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
나, 조단백질 수량은 AF10IRG20 처리구에서 2,526 kg ha-1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 <0.05). 결론적으로, 이
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알팔파의 혼파 재배는 알팔파의 높은 단백질 함량과 사료가치를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다. 연중
재배에 대한 생산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