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 논문명(한글) |
개의 연령 및 체중에 따른 혈액 생화학 성분 변동성 평가 |
| 논문명(영문) |
Evaluation of Age- and Body Weight-Related Variations in Canin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복지과 |
| 품목코드 |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주저자 |
이민영 |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5년04월 |
본 연구는 개의 혈액 내 생화학지표에 대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통해 연령별,
체중별 생리학적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견 총 80마리에 대하여 체중별(소형견, 체중 10kg 미만 43마
리; 중형견, 10~20kg 37마리), 연령별(1년 미만 34마리, 2-7년 30마리, 11년 이상 16마리)로 구분하고, 15개의 혈액
생화학 지표에 대한 PCA 분석을 실시하였다. PCA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PC1)은 글로불린, 총 단백질, 혈중 요소
질소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알부민 대 글로불린 비율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번째 주성분(PC2)은
알부민 및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령별 혈액 생화학 지표들의 분산 분석 결과, 성견과 노견에 비해 자견
그룹에서 글루코오스와 인, 칼슘, 알부민 대 글로불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노견 그룹에서는 자견과 성견에 비해
혈중 요소 질소, 혈중 요소 질소 대 크레아티닌 비율, 총 단백질, 글로불린, 리파아제 수치가 증가하였다. 중형견에 비해
소형견 그룹에서 혈중 요소 질소, 혈중 요소 질소 대 크레아티닌의 비율,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
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반려견의 혈액 생화학적 지표가 연령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고, 이는 개의 건강
상태 평가를 위해서 연령별, 체중별 차이를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