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논문명(한글) 중부지역에서 방목용 초지 조성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랭이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논문명(영문)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L). Pers.) and Crabgrass (Digitaria sanguinalis L.) for Grassland Establishment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조사료생산시스템과
    품목코드
    학술지명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주저자 유영상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2025년03월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라 기존 방목용 초지에 주로 이용하고 있는 한지형 목초의 생산성 저하문제를 해결하고자 2023년 5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천안에 있는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시험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기 정착률과 생육 속도에서는 바랭이가 우수하였으나, 버뮤다그라스의 초기생육이 느리기 때문에 잡초와의 경합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1차 수확 이후 버뮤다그라스가 정착되었으며 정착이후에는 식생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연간 건물 생산성은 바랭이(2023년 8,586 kg/ha, 2024년 12,013 kg/ha)가 버뮤다그라스(2023년 5,785kg/ha, 2024년 8,570 kg/ha)보다 2023년에는 32.62%, 2024년에는 40.18%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바랭이는 초기 예취에서 사료가치가 높으며, 버뮤다그라스는 후기 예취에서 사료가치가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본 결과를 종합해보면 바랭이는 빠른 생육과 높은 생산성으로 단기적인 초지 조성에 유리하지만 생육 기간이 짧아 동계사료작물 또는 한지형 목초와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버뮤다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한 지역에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식생을 유지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보이지만 초기 정착이 불량하여 이에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난지형 목초의 파종시기 및 수확간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가축 방목이용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