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 논문명(한글) |
사료 내 조단백질 및 Phytase 첨가 수준이 육계 후기의 생산성, 소화율 및 분뇨 내 질소, 인 함량에 미치는 영향 |
| 논문명(영문) |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and Phytase Levels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in Manure In Finisher Broilers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금연구센터 |
| 품목코드 |
축산 / 가금류 / 닭 / 육용계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홍의철 |
| 성과년도 |
2024 |
성과적용일 |
2025년05월 |
본 연구는 육계 후기 사료 내 조단백질 및 Phytase 첨가 수준이 생산성, 소화율 및 분뇨 내 질소, 인 함량에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육계 수컷 초생추(Ross308, 33.9±0.94 g) 180수를 21일령까지 사육하고, 21일령에 다시 체중이 유사한 개체들(721.8±31.96 g)을 선별하여 3수씩 재배치하였다. 시험설계는 사료내 조단백질 3수준(19%, 18% 및 17%)과 Phytase 3수준(1,000, 800 및 500 FTU/kg)의 3×3 복합요인으로 총 9처리구, 처리당 4반복, 반복(칸)당 5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조단백질 및 Phytase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질소 및 인의 소화율은 사료 내 조단백질 17% 처리구(CL)에서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Phytase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뇨 내 질소 함량은 사료 내 조단백질 19% 처리구(CH)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인 함량은 Phytase 첨가 수준이 500 FTU/kg일 때 가장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의 생산성과 소화율,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고려할 때, 조단백질 수준 18%, Phytase 첨가 수준 800 FTU/kg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