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 상세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제공
				
				
					
					
					
					
				
				
				
						
							| 영농활용명 | 
							한우에 대한 조사료별 기호성 및 영양성분 함량 정보 제공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영양생리과  | 
						
						
						
							| 품목코드 | 
							축산 / 조사료 | 
						
	
						
							| 주저자 | 
							이성신 |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료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06월 | 
						
						
							| 첨부파일 | 
							
								
								
								 영농정보_한우 조사료별 기호성 및 영양성분 함량 정보 제공_동물영양생리과_이성신.hwp
								   
								다운로드 
								
								
							 | 
						
						
													
				
			
		
			
			
			
					□ 배경
 ○ 한우 TMR 급여 현장에서 사료배합비를 작성할 때 국내에서 이용되는 조사료원 자료의 미비로 과학적인 영양소 관리 어려움
  - 국내에서 이용되는 조사료의 사양성적을 뒷받침할만한 기호성 및 영양소 함량 관련 자료 필요
□ 영농기술정보 개요
 ○ 사료 급여 1시간 사료섭취량 기준 조사료별 기호성 분석 결과
  - 공시동물 : 육성기 거세한우 20두(평균체중, 210±15.4kg)
  - 각 조사료 급여 시, 총체 벼 급여 한우가 5.0 kg 섭취하였으며, 티모시,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 총체 보리는 각각 1.63, 1.18, 0.6 kg을 섭취하였음
 ○ 조사료별(총체 벼, 티모시, IRG, 총체 보리) 영양소 함량 및 가소화용양소 총량
  - 조단백질은 IRG에서 10.8%로 가장 높았으며 티모시, 총체벼, 청보리는 각각 8.18, 5.83, 8.43%였음
  * 티모시는 등급별(일반, 프리미엄, 슈퍼프리미엄)로 구분되며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 프리미엄은 5.9%, 슈퍼프리미엄은 10.0%로 4.9% 차이가 있음
  - 가소화용양소 총량(TDN)은 티모시가 72.38%로 가장 높았으며, IRG, 총체벼, 청보리는 각각 65.35, 67.77, 64.64%였음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