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농촌진흥청, 이달의 신간
    작 성 일 2019-02-01 조 회 3157
    첨부파일

    190201_bodo.pdf (2180KB) ( 다운횟수 753 )     다운로드     바로보기



    농촌진흥청, 이달의 신간

    쇠고기 건식 숙성육 생산을 위한 품질 및 위생 관리 가이드발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쇠고기 숙성 기술 지원을 위한 쇠고기 건식 숙성육 생산을 위한 품질 및 위생 관리 가이드(안내)를 펴냈다.

     건조(건식) 숙성은 쇠고기를 24(), 습도 6585%의 조건에서 포장 없이 2060일간 숙성하는 기술이다.

     최근 건조 숙성 고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고 있지만 관련 기술 정보와 생산 기반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에 발간한 책자에는 쇠고기 숙성에 대한 기본 정보와 생산에 필요한 품질, 위생 관리 방법을 실었다.

     한우고기 숙성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 관련 법령과 연구 현황을 제시했다.

     건조 숙성을 위한 원료 고기 선택과 숙성 과정의 품질위생 관리, 포장, 보관, 상품화 등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농촌진흥청은 이 책자를 건조 숙성고기 생산을 희망하는 업체와 지방자치단체, 대학, 기술센터 등 관련 기관에 보급했다.

     책자는 국립축산과학원 누리집(www.nias.go.kr 공지사항)이나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김진형 과장은 책자가 건식 숙성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숙성고기 생산판매를 원하는 음식점과 업체에서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문의처 : 축산물이용과 조수현 농업연구관, 063-238-7351>

     

     6차 산업 목장 가이드 목장형 유가공 창업 알리미발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국내 목장형 유가공 사업에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담은 목장형 유가공 창업 알리미를 발간했다.

     목장형 유가공 사업은 목장에서 생산한 원유를 가공해 유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사업이다.

     - 현재 유가공이나 체험목장을 운영하는 목장형 유가공 낙농가는 100여 곳으로 추정된다.

     

     이 책자에는 목장형 유가공 사업의 진입 절차와 유제품 제조 방법, 위생 관리, 법령 등 낙농가들이 궁금해 하는 정보를 실었다.

     먼저, 사전 단계로 유가공업(축산물가공업)’의 진입 절차와 목장형 유가공품 제조에 필요한 설비 정보 등을 안내한다.

     국내 낙농 목장에서 주로 생산하는 발효 요구르트와 모차렐라, 카망베르, 고다, 체더치즈 등 유가공품 제조 방법도 단계별로 소개했다.

     끝으로 생산 제품에 대한 표시 기준과 자가품질검사 기준 정보, 우수 낙농가의 성공 사례, 사업 운영에 필요한 각종 법령 정보를 담았다.

     

     농촌진흥청은 이 책자를 국내 낙농가나 유가공 사업에 관심 있는 낙농인이 활용할 수 있도록 널리 보급할 예정이다.

     책자는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김진형 과장은 국내 목장형 유가공 사업은 규모가 영세해 사업 확대와 시장 개척에 어려움이 많다. 이 책자가 낙농인의 궁금증 해소와 국내 낙농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축산물이용과 유자연 농업연구사, 063-238-7369>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