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환절기엔 가축도 면역력 ‘뚝’ 질병 관리 주의
- 소는 호흡기 질환 백신 접종, 돼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주의 -
올 여름은 가축들에게도 유난히 힘겨웠다. 계절 변화로 온도차도 커지면서 이맘때면 면역력이 떨어져 질병에 걸리기 쉽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에서 조사한 젖소의 여름철 탈수 관련 혈액 수치를 보면, 대표적 대사성 질환인 케톤증도 겨울보다 여름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환절기에 세심한 돌봄이 필요하다.
한우‧젖소= 더위에 나빠진 건강 지표를 회복할 수 있도록 깨끗한 물과 품질 좋은 사료를 준다. 바닥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큰 일교차에 대비해 바람막이와 보온 시설을 확인한다.
새끼를 갖지 못한 소는 내년 분만을 위해 9월에 수정이 되도록 발정 관찰에 신경 쓴다.
갓 태어난 송아지는 초유를 충분히 먹이고, 호흡기 질환 예방 백신을 접종한다. 특히, 10월은 모든 소의 구제역 예방 백신 접종 시기이므로 미리 준비한다.
돼지= 우리 내부의 먼지와 유해가스, 냄새 등이 질병으로 이어지므로 알맞은 온도(21℃ 내외)와 습도(60~80%)를 유지하고, 환기를 한다. 사료 섭취가 부족하면 출하가 늦춰지거나 아기 돼지 수가 늘어 사육 밀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갖추도록 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료 방법과 백신이 없어 발생 시 경제적 손실이 클 것으로 우려되므로 소독과 차단 방역에 힘쓴다.
유럽이나 아프리카, 중국 등 발생 지역으로 여행을 자제하며, 이곳에 다녀온 사람이 농장에 드나들지 않도록 한다.
닭= 닭장은 환기가 잘 되지 않으면 배설물이나 먼지를 매개로 각종 병원체에 감염되기 쉽다. 알맞은 온도를 유지(16℃~24℃)하고, 환경 관리에 주의한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차단 방역을 위해 축산 관련자가 농장을 드나들 때는 소독을 해야 하며, 될 수 있으면 출입하지 않는다.
또한, 닭장 내부와 외부 사이에 임시 공간(전실)을 만들어 전용 작업복과 신발을 바꿔 신어 교차 오염으로 인한 질병 전파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질병방역과 정영훈 수의연구관은 “환절기에는 가축 질병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기 쉬우므로 미리 축사 환경을 쾌적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가축질병방역과 정영훈 수의연구관, 063-238-7221>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