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지방 적고 담백한 염소고기~ 항산화 효과도 좋아
    작 성 일 2018-08-07 조 회 2387
    첨부파일

    180807-1_bodo.pdf (348KB) ( 다운횟수 512 )     다운로드     바로보기



    지방 적고 담백한 염소고기~ 항산화 효과도 좋아

    - 양고기보다 항산화 활성 10배 이상 높아 -

     소고기와 육질은 비슷하면서도 지방 함량은 낮고 미네랄 군이 많은 염소고기가 항산화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건국대학교 문상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염소고기의 항산화 활성과 부위별 특성을 분석해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약용으로 인식해 온 염소고기의 육용 소비를 늘리고, 기초 자료 확보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진행했다.

     연구진은 11개월령 흑염소의 4개 부위(등심과 다리, 목심, 갈비)를 두 가지(FRAP, ORAC) 분석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 프랩(FRAP) 분석에서는 모든 부위(등심 12.11±1.50목심 16.06±1.90 μM TE/mg)의 항산화 능력이 양고기 활성(0.48±0.040.55±0.16)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오락(ORAC) 분석에서도 모든 부위(등심 68.05±1.02갈비 69.44±1.10 μM TE/mg)의 항산화 능력이 흑돼지고기 활성(50.25±1.5255.90±0.93)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은 우리 몸에서 노화 등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를 없앨 수 있는 능력이 크다는 의미다.

     부위별 물리적 특성(물성)7가지 항목을 측정했다.

     △경도(단단함)와 검성(뭉침), 파쇄성(부서짐)은 등심이 가장 높았고, 점착성(달라붙음)과 씹힘성은 갈비, 탄력성은 목심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응집성은 부위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이진욱 농업연구사는 염소고기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고기 중 하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약용으로 인식되면서 일반적인 요리용 소비는 적은 편이다.”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육용 소비를 늘리고 부위별, 요리별 판매를 다양화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축산과학원은 염소고기 소비 촉진을 위한 소비 실태와 인식도를 조사해 올해 말 발표할 계획이다.

    <문의처 : 가축유전자원센터 이진욱 농업연구사, 063-620-3531>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