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버려지는 버섯 배지, 한우 사료로 효과 좋아
    작 성 일 2017-12-04 조 회 2514
    첨부파일

    171201_bodo.pdf (500KB) ( 다운횟수 423 )     다운로드     바로보기



    버려지는 버섯 배지, 한우 사료로 효과 좋아

    - 도체중 22.7kg 늘고, 사육 기간 12.2일 줄어 -

     버섯을 재배하고 난 뒤 버려지는 배지를 소의 사료로 활용하면 체중 증가와 함께 사육 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한우 사육 농가 2곳의 한우 129마리를 대상으로 현장실증시험을 실시한 결과, 이 같은 비육효과로 1마리당 38만 원의 소득을 더 올릴 수 있음을 확인했다.

     버섯재배 부산물은 새송이팽이버섯 등을 재배하고 남은 배지에 유산균, 효모균, 고초균 등의 미생물제제와 쌀겨를 넣은 뒤 공기를 차단하는 방법(혐기성)으로 3040(여름 1015) 동안 발효시켜 만든다.

     이렇게 만든 버섯재배 부산물의 가소화영양소총량(TDN)72.6%(마른원료 기준)로 볏짚보다 1.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이 부산물을 섬유질배합사료(TMR)에 평균 10%씩 넣어 한우 육성기부터 약 2년 동안 먹인 결과, 출하까지 평균 29.7개월이 걸렸다. 이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먹인 대조구(30.1개월)에 비해 12.2일이 줄어든 수치다.

     또한, 도체중434.5kg으로 대조구(411.8kg)보다 22.7kg 증가했고, 육량 형질인 등심단면적은 5.5더 넓게 나타났다.

     육질 형질인 근내지방도(No.)도 대조구보다 0.4 정도 높았으며, 육질등급지수4.0으로 전체 평균 일플러스(1+)등급을 나타냈다.

     우리나라의 버섯재배 부산물은 연간 167만 톤이며, 사료화 가능 부산물은 58% 수준인 97만 톤 정도로 예측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버섯재배 부산물의 한우 비육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시범사업 확대방안을 마련해 기술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진현주 농업연구사는 한우의 고급육 형질을 최대한 발현하면서도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버려지는 버섯 배지를 사료 자원화에 활용하면 특용작물과 축산, 두 산업에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기술지원과 진현주 농업연구사, 063-238-7211>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