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돼지) 글 상세면입니다.
    제 목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주요 증상과 차단 방법은
    작 성 일 2023.06.19 조 회 수 215
    첨부파일

    Ⅵ. 질병-10.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주요 증상과 차단 방법은.pdf (594KB) ( 다운횟수 130 )     다운로드     바로보기

    ▣ 정의
    ○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돼지전염병으로 출혈과 고열 등이 주 증상입니다.
    - 질병의 폐사율이 매우 높아 큰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나 아직까지 사용가능한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 병인체
    ○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 다양한 병원성을 갖는 바이러스로서 24가지 유전형(genotype)으로 분류되며 현재 유럽·러시아·중국에서는 고병원성 바이러스인 제2형(genotype 2)에 의해 발생

    ▣ 전파 방법
    (바이러스 유입) 주로 감염된 돼지?돼지생산물의 이동, 바이러스에 오염된 남은 음식물의 돼지 급여,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 유입됩니다.
    ○ (직접전파)
    - 감염된 동물이 건강한 동물과 접촉할 때 발생합니다. 감염성이 있는 침, 호흡기 분비물, 오줌과 분변에 바이러스가 대량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접촉 시 전파됩니다. 피, 혈액이 섞인 설사 등으로 인해 돈사가 바이러스로 대량 오염될 수 있습니다.
    ○ (간접전파)
    - 환경에 저항성이 강한 ASFV가 오염된 차량, 사료 및 도구 등 비생체접촉매개물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덜 조리된 돼지고기, 건조?훈연?염장 처리된 돼지고기, 혈액, 돼지에서 유래한 사체잔반 등을 돼지에 급여하면 질병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 (매개체 전파)
    - ASFV에 감염된 물렁진드기(Ornithodoros spp)가 돼지를 흡혈할 때 돼지에 바이러스를 전달합니다. 모기나 흡혈 파리 같은 곤충도 ASFV를 기계적으로 전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ASFV 생존기간 : 소금에 절인 고기(182일), 냉동고기(1,000일), 부패된 혈액(15주), 오염된 돼지 우리(1개월)
    ▣ 잠복기간
    ○ 바이러스의 병원성 및 노출경로에 따라 3∼21일로 다양합니다.
    * 심급성형 3∼4일(임상 증상 발현 전 폐사가능), 급성형은 3∼7일, 야생멧돼지에 감염 시 15일, 진드기에 의한 전파의 경우 5일 이내 발병

    ▣ 임상소견 및 병변
    ○ 심급성?급성형, 아급성형, 만성형으로 증상 발현
    - 심급성?급성형 : 고열, 충혈, 혈액성 설사 등, 1∼9일경 폐사(최대 100%)
    - 아급성형 : 급성형보다 증상이 덜하고 감염 20여 일경 폐사(30∼70%)
    - 만성형 : 발육불량, 폐렴 등 임상 증상과 병변(폐사율 20% 미만)

    ▣ 차단 방법
    ○ 농장의 엄격한 차단 방역
    - 양돈농가는 축사 내외 소독 실시, 농장 출입 차량과 출입자 통제, 야생멧돼지와 접촉 금지 등 차단 방역을 철저히 이행
    ○ 돼지에 열처리 되지 않은 잔반 급여 금지
    - 남은 음식물 사료를 급여할 경우에는 열처리(80℃, 30분)한 후에 급여
    ○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국 여행이나 방문 삼가기
    - 중국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국에 대한 여행을 자제하고 부득이 방문 시에는 축산 농가와 발생 지역 방문을 금하기
    - 출입국 시 반드시 검역본부 신고 : 전화 1670-2870
    ○ 외국인 근로자의 축산물 반입 금지
    - 양돈농가, 양돈산업종사 외국인 근로자는 자국의 축산물을 휴대하거나 우편 등으로 국내 반입 금지
    ○ 아프리카돼지열병 임상 증상 숙지 및 이상 상태 파악 시 즉시 신고
    - 양돈 농가는 매일 임상 관찰을 실시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축 발견 시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

    ▣ 국가별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현황(2022.6.22)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