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한우) 글 상세입니다.
    제 목 구제역 예방 접종 시 주의사항은
    작 성 일 2023.06.20 조 회 수 465
    첨부파일

    Ⅵ. 질병-13. 구제역 예방 접종 시 주의사항은.pdf (594KB) ( 다운횟수 234 )     다운로드     바로보기

    ▣ 구제역의 특징과 전파 방법
    ○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이란?
    -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 감염되는 질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입술, 혀, 잇몸, 코, 발굽 사이 등에 물집(수포)이 생기며 체온이 급격히 상승되고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거나 죽게 되는 질병이다.
    -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A급 질병(전파력이 빠르고 국제교역상 경제피해가 매우 큰 질병)으로 분류하며 우리나라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 증상
    - 잠복기간 : 2일에서 14일 정도로 매우 짧다.
    -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소에서는 체온 상승, 식욕부진, 침울, 우유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
    등이 나타난다.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침을 심하게 흘리고, 입술, 혀와 잇몸, 유두 및 발굽 사이 등에 물집이 생긴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이환율은 높고 폐사율은 낮은 편이나 어린 송아지의 경우 성우에 비하여 폐사율이 높으며 임신우에서는 유산을 초래하기도 한다.
    - 감염된 소들은 1주일 이상 거의 먹지 못하며, 절뚝거리고 유방염, 산유량 격감 등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젖소에서는 착유량이 50% 정도 감소하기도 한다.

    ○ 전파 방법
    - 직접전파 : 전염동물의 수포(물집)액이나 침, 유즙, 정액, 호흡공기 및 분변 등과의 접촉이나 감염동물 유래의 오염축산물 및 이를 함유한 식품 등에 의해 전파된다.
    - 간접전파 : 감염지역 내 사람(목부, 의사, 인공수정사 등), 차량, 의복, 물, 사료, 기구 및 동물 등에 의해 전파된다.
    - 공기전파 : 공기는 육지에서는 50km, 바다를 통해서는 250km 이상까지 전파될 수 있다.

    ○ 치료 및 예방약
    -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으므로 유사 증상이 발견되면 국가기관에 신속히 신고하여야 한다.
    - 혈청형이 다른 예방약은 효능이 없고 아형이 다른 예방약은 효능이 낮아 혈청형이 맞는 예방약의 사용이 중요하다.

    ▣ 구제역 백신 접종 요령
    ○ (접종 전) 백신 보관 요령 및 사용 방법 숙지
    - 백신은 반드시 냉장보관(2~8℃)
    - 백신 사용 전 유효 기간과 사용 설명서를 반드시 확인
    - 백신 사용 시에는 상온(15~25℃)에 놓아두었다가 사용하며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사용(2~3시간 내)
    - 접종 전 백신 병을 위 아래로 천천히 흔들어 섞어줄 것
    - 한 번 개봉한 백신은 즉시 사용하며 바로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반드시 냉장보관하고, 24시간 이내에 사용
    - 축사 출입 시 방역복, 장화 및 장갑 등 보호장비 착용

    ○ (접종 시) 올바른 백신 접종 요령 준수, 주사 부위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 근육 접종 시 주사바늘은 가축의 피부와 수직이 되도록 접종 실시
    - 백신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접종 시 접종 용량이 근육 내로 완전히 주입될 수 있도록 천천히 주입
    - 1두 1침 사용, 오염된 바늘의 경우 접종부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
    - 연속주사기 사용 시 눈금을 정확히 조정하고 권장용량이 주입되는지 확인
    - 접종 개체는 스프레이 등으로 표식하여 누락된 개체가 없는지 확인

    ○ (접종 완료 후) 접종 후 가축 이상 여부 확인 및 사용한 물품은 철저한 세척·소독 등 실시
    - 접종 후에는 면역 형성 과정에서 체온 일시 상승 및 급성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
    - 연속주사기는 세척·소독 및 건조보관

    ▣ 국가별 구제역 발생 현황(2021.9.21.)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