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유전체선발 젖소 씨수소 도입을 위한 수입종축 규격 정비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축개량평가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동물 유전자원 / 가축 유전자원 / 대가축 |
주저자 |
최연호 |
기술유형 |
종자(축) / 육종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17 |
성과적용일 |
2017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65353-축산자원개발-가축개량평가과-최연호-유전체선발 젖소 씨수소 도입을 위한 수입종축 규격 정비.hwp
다운로드
|
○ 현재 전 세계에서는 유전체정보를 이용한 젖소 유전능력 평가를 통하여 기존의 혈통지수의 신뢰도에 비해(30~40%) 후대검정을 거친 보증씨수소의 추정 육종가 신뢰도(70~99%)에 버금가는 유전체 정보 활용 추정 육종가 신뢰도(60~80%)를 보유한 씨수소와 정액이 종축 시장에 유통 중임
<제안내용>
○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17-58호⌟(수입종축 등의 생산능력·규격기준)에서
- (현재) ‘2. 젖소 가. 씨수소’에서 (1) 검정을 마친 씨수소(보증씨수소)와 (2) 등록씨수소로 구분된 것을,
(개정) (1)과 (2) 제목을 삭제하고, (2) 항목은 내용 전체 삭제
- (개정)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씨수소(보증씨수소) 기준과 동일’로 변경
<기대효과>
○ 외국 유전능력이 우수하고 나이 어린 씨수소 정액 도입 가능
○ 관련 민원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