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홈 > 연구활동 >

이 게시판은 축산분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출처 : 농촌진흥사업 종합관리시스템

글보기입니다.
시책건의명 2018년에 산정한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가 통계자료로 활용
예산사업명 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
연차연구세부과제 한우의 장내발효 온실가스 배출량 등 필수 활동자료 DB 구축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
건의부처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주저자 이유경(동물영양생리과)
기술유형 사양관리/재배(사양)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축산생명환경 기술분야
연도 2018 성과적용일 2018년12월
첨부파일 정책제안-010401-축산생명환경-영양생리팀-이유경-2018년에 산정한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가 통계자료로 활용.hwp   다운로드        
○ 배경 - 우리나라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자료와 온실가스 관련 정책이행내용 등을 포함하는 국가보고서(National Inventory Report)를 UN 기후변화사무국에 격년으로 제출하고 있음. - IPCC 산정 방법을 사용하여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토지 이용, 토지 이용 변화 및 임업(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폐기물 분야에 대해 교토의정서에서 정의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포함하며, IPCC 2차 평가보고서의 지구 온난화지수(GWP)를 사용하여 CO2 환산양(CO2eq.)으로 1990년부터의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산정 -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및 정책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 제안내용 - 2016년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9.4 백만톤 CO2eq. - 장내발효: 4,048 천톤 CO2eq. - 가축분뇨처리: 5,398 천톤 CO2eq. ○ 파급효과 -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축산부문 온실가스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자주찾는 정보

원하시는 메뉴 6개 선택 후 저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