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림프절농양 질병내용 추가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품목코드 |
동물 유전자원 / 가축 유전자원 / 중가축 |
주저자 |
김찬란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2 |
성과적용일 |
2022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60101-축산생명환경-가축유전자원센터-김찬란-림프절농양 질병내용 추가.hwp
다운로드
|
○ 매 년 규모화 되고 있는 흑염소농가에서는 밀집사육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질병도 만연함
○ 대부분의 흑염소농가에서 림프절농양이 있는 개체가 관찰됨
- 농진청‘염소의 피하농양 병원체 및 면역학적 분석을 통한 질병관리 기술개발’연구 최종보고서(2022)에 따르면 110개 염소농가 중에서 62개 농가(56.4%), 전체 도축장 출하 염소 1,177두 중에서는 233두(19.8%)에서 림프절농양이 관찰됨
- 농장에 따라서는 출하된 염소의 60%에서 관찰되기도함
○ 흑염소농가를 위해 본 질병에 관한 지식보급이 필요함
○‘가축위생과 질병(기타가축)’염소질병 부분에 ‘림프절농양’추가
- 연구문헌 및 농림축산검역본부‘2014 흑염소질병과 대책’전자도서를 참고하여‘림프절농양’ 일반적인 설명 자료 추가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